안녕하세요. 사단법인 호이 박자연 대표입니다.
2024년은 우간다에서 학교학습공동체(School-based Learning Community, 이하 SLC)를 시작한 지 꼬박 10년이 되는 해입니다. 2007년에 처음 관계를 맺었던 케냐 코어를 2014년에 떠나고, 그해 여름에 우간다로 현지 조사를 갔고요. 2015년부터 SLC를 3개 학교에서 시작했는데요. 우간다 교사 성장 3단계 프로젝트인 SLC는 <1단계 수업 공개와 SLC 모임→2단계 팀 빌딩(공동수업연구, 팀 티칭)→3단계 학교프로젝트>로 실행되었어요. 10년 차가 된 2024년 현재 SLC를 하고 있는 학교가 46개교로, 교사는 535명(남교사 316명, 여교사 220명)으로, 학생은 28,620명(남학생 14,211명, 여학생 14,409명)으로 늘었습니다.
저는 단순히 사업이 양적으로 확장되는 것보다, SLC의 핵심-교사들의 협력적 학습-을 유지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저의 오랜 숙제였던 “학교학습공동체-교사용 매뉴얼”을 이번 1월에 집중적으로 작성했어요. 기존에도 SLC 사업 매뉴얼이 있었는데, 이 매뉴얼을 활용하는 대상이 SLC에 참여하는 교사와 SLC를 모니터링을 하는 장학사가 혼재되어 있어 복잡했어요. 그렇다 보니, SLC의 핵심이 잘 드러나지 않았어요. 교사학습공동체 전문가이신 청주교육대학교 김민조 교수님과 몇 번의 자문 회의를 거친 후, 교사용 매뉴얼과 장학사용 매뉴얼을 구분하기로 했어요.
또한 기존 2단계 이름이 팀 빌딩인데, 교사들 상호 간에 신뢰와 존중을 쌓아가는 팀 빌딩 과정은 SLC 전 과정을 통해 이뤄져야 하고, 2단계의 실질적 내용이 “공동수업연구”가 핵심이기 때문에 2단계 이름을 “팀 빌딩”에서 “협력적수업연구(Collaborative Lesson Study)”로 바꾸기로 했어요. 그리고 우간다 현지 실정에 맞게 운영되는 학교 프로젝트의 구체적인 사례를 담아, 일반적인 교사 전문적학습공동체(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를 넘어 호이 만의 대표 교육 프로그램으로서 학교학습공동체(School-based Learning Community), SLC의 특징이 더욱 분명하게 드러나도록 수정했습니다.